2022년 10월 29일 서울 이태원에서 발생한 참사는 3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낳으며 우리 사회에 큰 충격과 슬픔을 안겼습니다.
참사 이후 진상 규명과 피해자 지원을 위한 논의가 이어졌지만, 실제로 피해자와 유가족에게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2025년 6월, 정부는 참사 발생 2년 7개월 만에 처음으로 이태원 참사 피해자와 유가족을 대상으로 생활지원금 지급을 시작했습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이태원 참사 지원금 신청 방법 대상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의 순서
1. 이태원 참사 지원금 신청 방법

이태원 참사 생활지원금은 희생자 유가족과 부상 피해자, 그리고 참사 현장 인근 상인이나 수습 과정에서 정신적 트라우마를 입은 이들까지 폭넓게 지원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지원금은 매달 지급되는 방식이 아닌, 한 번에 지급되는 일시금 형태로, 가구 구성원 수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유가족의 경우 1인 가구는 146만 원, 7인 이상 가구는 555만 원이 지급되며, 부상 피해자는 1인 가구 73만 원에서 7인 이상 가구 277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은 피해자의 주민등록상 거주지를 관할하는 시·군·구청에서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팩스로도 가능합니다.
외국인 피해자의 경우 국적국 대사관 소재 관할 시·군·구청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에는 지급신청서, 신분증, 통장 사본, 주민등록등본 등 기본 서류와, 필요에 따라 가족관계증명서, 피해자 인정 결정서 등이 요구됩니다.
신청 마감 기한은 별도 공지 시까지이며, 특별한 사유로 기간 내 신청이 어려운 경우 사유가 해소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번 생활지원금은 지급일로부터 1년간 기초생활수급권자 소득인정액에 포함되지 않아 저소득층 피해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배려되었습니다. 지급 결정에 이의가 있을 경우, 통지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읽으면 도움 되는 글 목록
여기까지 이태원 참사 지원금 신청 방법 대상 알아보았습니다.
이태원 참사 생활지원금 지급은 참사 이후 오랜 기간 동안 고통받아온 피해자와 유가족을 위한 최초의 공식적이고 실질적인 정부 지원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지원금 규모와 지급 방식, 신청 절차 등은 피해자들의 현실적 필요를 반영하려 노력했으나, 일부 유가족과 피해자들은 여전히 지원의 시기와 규모에 아쉬움을 표하고 있습니다.
이번 조치가 피해자들의 일상 회복과 사회적 연대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 그리고 피해자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