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 납부 방법 기간 조회 부과 기준

부동산 소유자에게 매년 부과되는 세금인 재산세 납부일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재산세를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어 기간 내에 납부하는게 중요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서 재산세 납부 방법 기간 조회 부과 기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의 순서


1. 재산세 납부 방법

재산세-납부

2024년 재산세 납부 기간은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주택분 재산세는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분할 납부합니다. 1차 납부 기간은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이며, 2차 납부 기간은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입니다. 건축물 및 토지분 재산세는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한 번에 납부합니다.

  • 1차 납부 기간 : 07.16.(화)~07.31.(수)
  • 2차 / 건축물 및 토지분 납부 기간 : 09.16.(월)~09.30.(월)

재산세 납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은행 방문: 고지서를 지참하고 가까운 은행에 방문하여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 뱅킹: 인터넷 뱅킹을 통해 지방세 납부가 가능합니다.
  • 지방세 포털 사이트: 정부24 또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 포털 사이트에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자동이체: 신청을 통해 지정된 계좌에서 자동으로 납부될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 앱: 스마트폰을 이용해 모바일 뱅킹 앱이나 지방세 납부 앱을 통해 납부 가능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위택스’에서 ‘나의 위택스’를 참고하면 납부건에 대해 빠르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납부 기한을 엄수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기간 내에 납부하는게 중요합니다.

2. 재산세 부과 기준

과세 대상

재산세는 주택, 상가, 공장, 토지 등 다양한 부동산을 대상으로 부과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주택: 주거용 건물과 그 부속 토지를 포함합니다.
  • 건축물: 상업용 건물, 공장, 창고 등 비주거용 건물.
  • 토지: 건축물이 없는 토지, 농지, 임야 등.

과세 기준일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 따라서, 6월 1일 현재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자가 재산세 납부 의무를 가지게 됩니다.

과세 표준

재산세의 과세 표준은 재산의 시가를 기준으로 하며, 이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산정됩니다:

    • 공시가격: 정부나 지자체에서 공시하는 부동산의 가격입니다. 주택의 경우 공동주택가격, 단독주택가격, 표준지공시지가 등을 포함합니다.
    • 과세표준액: 공시가격에 일정한 비율을 적용하여 산정됩니다. 주택의 경우 공시가격의 60~70%가 과세표준액이 되며, 이는 재산세율 적용의 기준이 됩니다.

    세율
    재산세율은 과세 대상의 종류와 과세표준액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택: 과세표준액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주택의 경우 0.1%에서 0.4%까지 세율이 부과됩니다.
      • 건축물: 0.25%에서 0.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 토지: 0.2%에서 0.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토지의 용도에 따라 세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공제 및 감면

      일부 재산은 공제나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고령자,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의 주택 소유자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재해로 인한 피해를 입은 부동산은 세액 감면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읽으면 도움 되는 글 목록


        여기까지 재산세 부과 기준 조회 납부 방법 기간 알아보았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