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임업직불금 신청 방법 대상 교육

임업직불금은 산림의 공익적 기능을 증진하고 임업인의 소득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2025년 임업·산림 공익직접지불금(임업직불금) 신청 접수가 2025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2025 임업직불금 신청 방법 대상 교육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의 순서


1. 임업직불금 신청 방법

임업직불금-신청

임업직불금 제도는 임업인의 소득 보전과 함께 산림의 다양한 공익기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휴양·치유, 산림 생물다양성 보전 등 산림이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국민들이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요 취지입니다.

대상 및 금액

임업직불금 대상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임산물 생산업의 경우 2019년 4월 1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 임야 대상 농업경영체로 등록된 산지에서 직전 1년 이상(연간 60일 이상) 임산물 생산업에 종사하고, 연간 임산물 판매금액이 120만 원 이상인 임업인이 해당됩니다.

둘째, 육림업의 경우 산림경영계획 인가를 받고 동일 기간 내 임야 대상 농업경영체로 등록된 산지에서 직전 1년 이상(연간 60일 이상) 육림업에 종사하고, 직전 10년간 육림 실적이 3ha 이상인 임업인이 대상이 됩니다.

임업직불제 시행으로 인해 약 2만 8천 명의 임업인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1인당 평균 167만 원을 지급받아 임가소득이 약 4.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신청 기간 및 방법

신청 방법은 온라인과 방문 신청 두 가지로 나뉩니다.

온라인 신청은 ‘임업-in 통합포털’을 통해 3월 1일부터 31일까지 가능합니다.

방문 신청은 4월 1일부터 30일까지 관련 서류를 지참하여 산지 소재지 각 읍·면 행정복지센터에 제출하면 됩니다.

2. 임업직불금 교육

임업직불금 교육은 임업직불금을 받고자 하는 임업인들에게 의무적으로 부과되며, 매년 2시간 이상 이수해야 합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나뉩니다. 온라인 교육의 경우, 임업-in 통합포털(pay.cofo.go.kr) 또는 농업교육포털(agriedu.net)에서 사이버교육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교육의 경우, 서부지방산림청 등에서 집합교육 형태로 실시됩니다


📌 읽으면 도움 되는 글 목록


여기까지 2025 임업직불금 신청 방법 대상 교육 알아보았습니다.

Leave a Comment